자유게시판이라서 자유롭게 글 올립니다!
제목은 '워드프레스를 워드프로세서가 아닌 워드프레스라고 발음하기까지...'
대략 5-6년 전에 인터넷 마케팅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그러다보니 블로그로는 한계가 여실한 듯 하여
홈페이지 빌더를 알아봤습니다. 홈페이지 빌더라는 용어 자체도 그 당시에는 누구에게서 들은 것이 아니었고,
그 의미는 홈페이지를 쉽게 만들 수 있는 제작도구 (Tool)를 의미 했습니다.
그러던 중
클라이언트에게 A라는 웹사이트 1개를 제작해 주었습니다.
이 사이트는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방문자가 자유자재로 조건을 제시해서
원하는 데이터를 조회해서 볼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특징입니다.
프로젝트 완결 후에 클라이언트가 아래와 같은 새로운 요청을 합니다.
(요청내용)
추가로 1개의 사이트 (*B사이트라고 함) 를 더 만드는데,
단지 db 데이터는 A사이트의 것을 공용으로 사용하도록 해 달라는 내용입니다.
패러다임을 바꿔야만 산다는 고전적인 계몽시대가 20여년 전에 광풍처럼 몰아쳤습니다.
대부분의 기업들은 패러다임의 변화를 "고객에 대한 친절한 응대" 정도로 치환해서 활용했고,
정작 대우해 주어야 할 내부 직원에 대해서는 고객응대를 잘못한다는 달달 볶는 용도로 활용해 먹기도 했습니다.
물론 지극한 무지에서 이루어진 산물입니다!
지금은 4차 산업시대를 운운하면서 패러다임 변화를 촉구하는 시대입니다.
그런데, 패
우커머스를 처음 설치하고 나면, 설정(Settings) 페이지가 너무 복잡한 듯하여
의욕을 갖고 우커머스 쇼핑몰을 시작하려다가도 충분히 기가 꺽이게 됩니다^^;;
이럴때는...
"천리길도 한 걸음부터" 라는 격언을 벗삼아서 즐기면서 하면 됩니다^^
(* A journey of a thousand miles begins with a single step.)
우커머스 설정중에는 결제 탭에서 수표지불 (check
스스로 주체가 되어서 웹콘텐츠를 발행하고 공유하는 블로깅 시대에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했다가, 어건 정말 아닌 것 같다는 생각에 눈길을 다른데로 돌려보니...
Tstory가 있었습니다.
Tstory는 계정을 개설하는 것도 자유 권한이 없어서 기존의 Tstory 운영자로 부터
계정을 개설할 수 있는 티켓인가를 얻어야 했는데, 계정 개설 자체가 까다롭다보니
더욱 소유를 하고 싶은 욕구를 자아냅니다^^
그래서 이
쇼핑몰을 오픈 전에 최종 판매가격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여서, 대부분의 상품가격을 "0"원으로 등록했습니다.
임의적인 가격으로 판매가격을 등록시켜 놓을 수도 있었지만, 이렇게 되면 정식판매 중인 사이트로 오해될 소지도 있어서
테스트 기간동안에는 "0"원으로 등록해놓고 최종 테스트 중이었습니다.
배송료까지 테스트가 완료된 상태인데....
문제는 결제페이지에서 결제방식 (payment method) 선택 버튼이 나오지를
안녕하세요? 스레드봇님^^
지금 당장은 아니더라도, 향후 기능 추가에 대한 의견입니다.
1. 앞으로 웹사이트(모든 홈페이지 포함)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냐가 갈수록 중요해 질텐데요,
현재 글쓰기도 워드프레스 내장에디터의 장점이 많지만, 스마트폰과의 연동성 때문에
textarea 모드로 선택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한테는 우수한 에디터 보다는 스마트폰 연동성이
더욱 중요해서이기도 합니다.
2
안녕하세요?
KBOARD 관리자 모드에 '게시물 표시' 숫자를 선택하게 되어있습니다.
그런데 선택 숫자가 1, 4, 6, 10, 12, 15개등으로 선택을 하게 되어있습니다.
저는 5개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해서 5개를 선택하려니, 해당 되는 숫자가 없네요^^;;;
'게시물 표시' 갯수를 지정된 숫자에서 선택하는 방식이 아닌
KBOARD 사용자가 '원하는 숫자를 지정'하는 방식으로 하면 더 편리하겠다는 생각입니다
2015년에 출간된 어느 워프관련 도서에는 KBoard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소개하고 있습니다.
-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게시판 플러그인이다.
- 빠른 업데이트와 풍부한 기능으로 많은 사용자층을 확보하고 있다.
- 커스텀 포스트 타입 구조를 따르지 않고 있다
여기에서 커스텀 포스트 타입 구조를 따르는 것과 따르지 않는 것의 장단점이 무엇인지
궁금해지네요. 이에 대한 코스모스팜의 구체적인 설명을 듣고 싶습